전라남도 영광군이 해상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인구 10만 자립도시’ 도약을 위한 종합 전략을 본격화한다. 에너지 생산에 그치지 않고 일자리와 산업, 인구 유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전라남도가 총 20조 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바탕으로 해상풍력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지난달 22일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3.2GW 규모의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지정한 데 따른 후속 흐름이다. 전남도는 30GW 규모 해상풍력단지를 기반으로 연간 2450억 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확보해 ‘에너지 기본소득 1조 원’ 시대를 연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발맞춰 영광군은 에너지 자립을 넘어 산업화, 나아가 인구 증가까지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제시했다. 군은 해상풍력·태양광 발전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지관리(O&M) 기지와 산업단지를 조성,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영광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연간 일사량은 4.0~4.2kWh/㎡, 평균 풍속은 6.0m/s 이상을 기록한다. 이러한 자연조건은 태양광과 풍력 모두에 적합해 전국적인 주목을 받아왔다.

군이 구상하는 ‘O&M 거점기지’는 해상풍력 유지관리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단지다. 부품 정비, 기술지원, 선박 관리 등 연관 산업까지 집약한 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 내 전 과정이 이뤄지는 산업 구조를 갖추겠다는 목표다.

또한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 내에서 우선 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 원칙을 적용해, 전력요금 차등제 도입도 추진된다. 이를 통해 지역 기업의 전력 비용을 낮춰 투자 유치 경쟁력을 확보하고, 주민에게는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복안이다.

영광군은 이러한 에너지-산업 연계 구조를 통해 ‘에너지 특화 국가산단’ 지정을 중앙정부와 협의 중이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수소 등 전력 다소비형 첨단산업 유치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에너지는 더 이상 대기업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지역과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공자산”이라며 “영광의 자원을 활용해 에너지 생산에서 일자리, 경제, 인구로 이어지는 성장 사슬을 현실화하겠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선순환 체계를 통해 ‘인구 10만 자립도시’ 실현에 나선 영광군의 행보에 지역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