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379개 경로당에 매년 지원되는 경로당 운영비, 냉난방비, 부식비 집행 및 정산 절차등이 변경된 집행 기준과 사용 원칙에 맞지 않게 사용되고 있다.
영광군은 투명성 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등을 안내 하고 있지만 일부 경로당은 보조금 일부를 사적으로 유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 되고 있다.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일부 경로당에서는 부식비로 사용해야 할 보조금을 비식비 카드로 먼저 결제한 뒤, 이를 믹스커피 등 물품 구입에 전용하고 개인이 집으로 가져갔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현행 지침상 보조금은 사용 항목이 명확히 구분돼야 하며, 결제 내역도 정산서에 투명하게 기재해야 한다.
보조금 지출의 경우 회원 등록수가 전체 경로당이 각각 다르고 경로당을 이용하는 인원도 다르지만 일정 가입 회원수(20인 이하~ 51인 이상)로 분류 하여 운영비 지급을 하고 있다.
염산면 A 경로당 주민 박모(72세)씨는 “연간 지급되는 보조미(경로당 균일 년간 12포)는 인원수에 관계 없이 균일하게 지급 되 일부 경로당은 지급 받은 보조미가 부족하여 부식비 일부에서 지출을 하는 경우가 있고 일부 경로당은 남아 개인적으로 집으로 가져 가는 경우도 발생 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이런 행위가 발생하더라도 경로당 내부 감시가 사실상 어렵다는 점이다. 회장이 직접 시장을 보고 결제를 진행하더라도 집행 내역을 회원에게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아, 의혹이 있어도 회원들이 정확한 사용처를 파악하기 힘든 구조다. 한 주민은 “세금으로 지원되는 보조금이 개인 집으로 흘러들어가는 일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며 “교육만으로는 부족하고 정기적인 현장 점검과 카드 사용 내역 공개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광읍(읍장 송승민)이 지난 11일부터 관내 경로당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맞춤형 회계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교육은 2025년도 상반기 보조금 정산 결과 일부 경로당에서 집행·관리의 어려움이 드러나자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보조금 집행 및 정산 절차 ▲변경된 집행 기준과 사용 원칙 ▲투명성 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 등을 안내하며 “현장 중심 행정”을 내세웠다.
이번 교육을 통해 회계 절차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감사와 제도적 견제 장치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눈가리고 아웅’식 행정에 그칠 것이라는 비판이 지역사회에서 잇따르고 있다.